영상: 화면 위로 비추어진 물체의 상
프레임: 한장의 단순한 사진
-> 영상은 프레임의 연속
-> 하나의 정적인 그림이 연속적으로 움직여 저희 눈에는 움직이는 영상으로 보이게 되는 것
영상편집: 이러한 프레임, 스틸 이미지의 연속인 영상을 자르고 붙여서 효과를 입힌 뒤 새로운 영상으로 만드는 과정의 일체
해상도: 영상의 화질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, 1인치당 들어있는 픽셀의 수
해상도 = (가로 픽셀 수)x(세로 픽셀 수)
ex) 1080p -> 가로 1920개의 픽셀 수와 1080개의 픽셀 수
픽셀(=화소): 화면의 표시 영역에 작은 구획으로 나누어져 빛을 발하는 점
화질: 화면의 질
1인치당 화소의 수: 높을수록 확대 시 깨짐 현상이 덜함
: 대각선 해상도 % 대각선 길이(인치)
PPI: 1인치당 픽셀의 수, 높을수록 확대시 깨짐현상이 덜함
해상도 좋음 <- 화소의 개수가 많을수록, 화소의 크기가 작을수록
해상도
HD - 16:9 화면비, 1280X720 해상도, 720p라고도 불림
FHD - 16:9 화면비, 1920X1080 해상도, 1080p라고도 불림
QHD - 16:9 화면비, 2560X1440 해상도, 1440p라고도 불림
UHD(4K) - 16:9 화면비, 3840X2160 해상도, 2160p라고도 불림
FPS(Frame Per Second): 즉 초당 프레임 수
ex)
30fps는 1초에 30장의 스틸 이미지가 바뀌는 것
-> 편집 시에 원본 영상 파일의 화질과 fps, 그리고 시퀀스의 화질과 fps를 가급적 동일하게 설정하여 편집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
편집의 종류
컷 편집: 영상 클립을 각각 자르고 붙여서 하나의 스토리가 있는 영상으로 만드는 것
'이펙트(효과) 편집: 영상에 각종 효과를 집어 넣어 원하는 느낌의 영상으로 만드는 것
컷 편집
컷 편집시 유의사항: 컷 편집을 진행할 때 따로 필요한 부분 (인트로 및 아웃트로 제작, 또는 화면 전환용으 로 쓰일 만한 부분)이 있다면 미리 빼놓는 것
컷 편집시 필요한 부분: 영상의 속도, 영상의 크기
# 영상의 크기 - 클로즈업, 풀샷, 줌인, 줌아웃
클로즈업 - 특정 부분만 강조하고 싶을 시 사용
풀샷 - 영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을 때, 여행 전경
줌인 - 영상을 풀샷 → 클로즈업으로 나타내는 것
줌아웃 - 영상을 클로즈업 → 풀샷으로 나타내는 것
컷 편집 = 스토리텔링
편집 용어
1. 소스: 주로 영상에 들어가는 요소
영상 소스 - 촬영 원본 또는 다운로드 영상
사운드 소스 - 음악 파일, 녹음 파일, 효과음 등
이미지 소스 - 사진, 그림 및 각종 이미지
2. 시퀀스: 최종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만드는 하나의 가상 영상
3. 프로젝트: 프리미어에서 진행되는 편집 작업을 저장한 파일을 지칭
프로젝트 = 시퀀스들을 모아 놓은 하나의 건물
시퀀스 = 그 건물 안에 들어 있는 각각의 작업실
소스 = 그 작업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요소
4. 클립: 시퀀스에 들어온 비디오 소스나 오디오 소스
그래서 비디오 클립, 오디오 클립, 이미지 클립 등으로 나눌 수 있고, 이 클립들을 이용하여 편집 작업을 진행합 니다
5. 패널: 프리미어 프로그램을 열면 보이는 작업 창, 이러한 각각의 작업 창을 바로 패널
패널의 종류 - 소스 모니터 패널,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, 프로젝트 패널, 타임라인 패널
6. 재생 헤드(=인디케이터) : 현재 재생되고 있는 시간의 위치를 나타냄
타임라인 패널에서 보이는 파란색 세로줄로, 재생 헤드가 위치한 지점의 동영상이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에서 나타납니다
재생 헤드를 클릭하고 드래그해 동영상의 앞뒤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7. 샷: 녹화 버튼을 눌러 기록을 시작했다가 정지할 때까지 찍힌 영상
8. 듀레이션: 클립이 재생되는 시간, 즉 클립 유지 시간 (클립의 영상 길이)
9. 러닝타임: 완성된 영상이 재생되는 길이 (최종 편집본의 영상 길이)
10. 키 프레임: 속성값이 있는 프레임으로, 효과를 적용하거나 끝나는 기준점
효과가 적용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, 중간값의 변화가 있는 모든 프레임을 통틀어 키 프레임
간단히 말해 불러온 클립의 투명도, 위치, 회전, 크기 등을 시간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
11. 타임 코드: 영상을 편집할 때 영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위
시:분:초:프레임 단위
12. 렌더링, 인코딩
렌더링: 편집 영상을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
인코딩: 편집 영상을 동영상 피일, 예컨대 avi, mp4 확장자 파일로 뽑아내는 과정
13. 코텍: 코덱은 어떤 데이터에 대해 인코딩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
간단히 말해 소리, 동영상 등의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시켜주는 것
avi, mkv, mov, mp4와 같은 영상 확장자 파일을 압축한 방식이 바로 코덱인데요,
프리미어에서는 H.264, H.265 와 같은 코덱이 주로 사용됩니다.
14. 인서트: 영상과 영상 사이에 다른 영상을 끼워 넣는 것
15. 오버 라이트(=오버레이): 기존의 영상 위에 다른 영상을 덮어씌우는 것
기존 영상은 덮어 씌워지는 영역만큼 사라집니다.
16. 리프트: 영상 편집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들어내어 제거하는 것
제거하고 남은 공백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.
17. 익스트랙트: 영상에서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공백 없이 이어붙이는 것을 말합니다.(컷 편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)
18. 트랙: 타임라인 패널에서 보이는 A1, A2, A3의 오디오 영역 과 V1, V2, V3의 비디오 영역 이 보일 텐데요, 이러한 보이는 줄 사이 사이가 바로 트랙
19. 트랜지션: 장면전환,
영상 편집을 하면서 하나의 컷에서 다음 컷으로 넘어갈 때, 특정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바로 트랜지션
20. 디졸브: 기존 클립에서 다음 클립으로 넘어갈 때 장면이 부드럽게 전환되는 효과
21. 인트로, 아웃트로:
인트로: 영상이 시작되기 전에 나오는 10초가량의 짧은 브랜드를 나타내는 영상
아웃트로: 끝부분에서 나오는 영상
22. 마스크: 편집에서 특정 부분만 효과를 입히거나 영상을 배치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것, 효과를 선택하는 영역
23. 컷: 영상을 자르는 것
24. 크로마키: 크로마키는 두 개의 영상을 합성하는 기술
A와 B라는 영상이 있다면 B 영상으로부터 좁은 범위의 색을 제거하거나 투명하게 만들어 뒤의 A 영상이 비치 게 할 수 있겠죠.
'공부 > 영상편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루트에 대하여 - 직접 적용하기 (0) | 2021.12.12 |
---|